Journal Node
하둡 버전 2.0 부터 NameNode 2대로 구성한 HA를 지원
fsimage : 메타데이터 내의 파일 시스템 이미지가 체크 포인트라고 불리는 타이밍에 로컬 파일 시스템으로 기록되는
* 데이터 노드와 블록 대응 정보는 기록하지 않는다. 항상 그 데이터노드에 같은 블록이 있다고 볼 수 없다.(장애가 나는 경우)
edits : HDFS는 파일 변경을 트랜잭션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파일 처리 시마다 NameNode의 메모리와 로컬 파일 시스템에 편집 로그가 생성된다. 이들 중, 로컬 파일 시스템에 생성되는 편집 로그
항상 최신 변경 상태를 기록 -> fsimage를 최신화
파일 시스템에 기록함으로써 신뢰성 확보
HA로 구성된 두 분리된 서버가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 standby가 깨어날 때 똑같아야 하지 않겠는가.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hado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둡(hadoop) 이란? (첫 번째) (0) | 2016.10.13 |
---|---|
hadoop s3 연결 (0) | 2015.11.27 |